-

돈가스나 생선가스에 사용되는 ‘빵가루’는 양이 적어, 혈당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1. 빵가루의 정체 돈가스, 치킨가스, 생선가스, 핫도그 등 튀김 요리에 바삭한 식감을 더해주는 빵가루는 보통 식빵을 건조시켜 곱게 간 것입니다. 이는 사실상 수분이 제거된 ‘농축된 빵’이나 마찬가지입니다. 2. 숨겨진 탄수화물과 지방 – 탄수화물 함량: 빵가루는 그 자체로 100g당 70g 이상의 높은 탄수화물을 함유한 고탄수화물 식품입니다. 돈가스 한 조각에 입혀지는 빵가루의 양은 생각보다 많으며, 이는 식후…
-

라면을 먹을 때 국물은 마시지 않고 면만 건져 먹으면 건강에 괜찮다?
1. 라면의 두 가지 문제: 국물과 면 라면이 건강에 좋지 않다고 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높은 ‘나트륨’ 함량을 가진 국물이고, 둘째는 ‘튀긴 정제 탄수화물’인 면입니다. 국물을 먹지 않으면 나트륨 섭취는 크게 줄일 수 있지만, 면 자체의 문제는 그대로 남습니다. 2. 면의 문제점 – 정제 탄수화물: 라면 면발은 껍질을 모두 벗겨낸 흰 밀가루로 만들어집니다.…
-

‘쌀국수’는 쌀로 만들었기 때문에, 밀가루로 만든 국수와 마찬가지로 혈당을 빠르게 올리는 고탄수화물 음식이다?
1. 쌀국수, 건강한 이미지의 오해 쌀국수는 왠지 밀가루 국수보다 더 건강하고 소화가 잘될 것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맑은 국물에 숙주나 고기 등 고명이 올라간 베트남 쌀국수는 가벼운 한 끼 식사로 인기가 많습니다. 하지만 혈당 관리 측면에서는 밀가루 국수와 큰 차이가 없는, 주의가 필요한 음식입니다. 2. 주재료 ‘쌀가루’의 특성 – 정제 탄수화물: 쌀국수의 주재료는 흰쌀을…
-

‘저탄수화물 빵’이나 ‘키토 빵’은 탄수화물이 전혀 없으므로, 양에 상관없이 마음껏 먹어도 된다?
1. 저탄수화물 빵의 재료 ‘저탄수화물 빵’ 또는 ‘키토 빵’은 혈당을 올리는 밀가루나 설탕 대신, 다음과 같은 재료들을 사용하여 만듭니다. – 가루: 아몬드 가루, 코코넛 가루, 아마씨 가루 등 – 지방: 버터, 코코넛 오일, 아보카도 오일 등 – 팽창제 및 결합제: 계란, 차전자피 가루, 베이킹파우더 등 이러한 재료 덕분에, 저탄수화물 빵은 일반 빵에 비해 탄수화물 함량이…
-

팥이 들어간 ‘찐빵’은 튀기지 않고 쪄서 만들었기 때문에, 튀긴 도넛보다 항상 건강에 더 좋은 간식이다?
1. 조리 방식: 찌기 vs 튀기기 단순히 조리 방식만 놓고 보면, 기름에 튀기는 것보다 수증기로 찌는 것이 칼로리와 지방 섭취를 줄이는 훨씬 더 건강한 방법입니다. 튀긴 도넛은 반죽이 기름을 흡수하여 매우 높은 칼로리와 포화지방을 함유하게 됩니다. 2. 내용물의 문제: 고탄수화물 + 고당류 하지만 찐빵이 도넛보다 ‘항상’ 더 건강하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혈당 관리 측면에서는 찐빵 역시…
-

최근 출시되는 ‘통밀’이나 ‘해조류’를 넣어 만든 라면은, 일반 라면보다 식이섬유가 많아 혈당 관리에 조금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1. 건강 라면에 대한 기대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라면 시장에도 ‘건강’을 내세운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면을 튀기지 않은 ‘건면’이나, 면 반죽에 통밀, 콩, 해조류 분말 등을 첨가하여 식이섬유나 단백질 함량을 높인 제품들입니다. 2. 식이섬유 보강의 효과 – 원리: 면 반죽에 통밀이나 해조류 분말을 첨가하면, 면 자체의 식이섬유 함량이 일반 라면보다 높아집니다. 식이섬유는…
-

새해에 먹는 ‘떡국’은 떡이 국물에 퍼지면서 소화 흡수가 빨라져, 일반 밥보다 혈당을 더 급격하게 올릴 수 있다?
1. 떡국의 주재료, 가래떡 떡국의 주재료인 ‘가래떡’은 흰쌀(멥쌀)을 가루 내어 찌고, 여러 번 치대어 만든 ‘고농축 정제 탄수화물’입니다. 이미 이 자체만으로도 혈당 지수(GI)가 매우 높아, 밥보다 혈당을 훨씬 빠르게 올리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끓이는 과정의 효과 이 가래떡을 짭짤한 국물에 넣고 오랜 시간 끓이면, 혈당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나빠집니다. – 호화의 극대화: 떡이 뜨거운…
-

피자는 토핑에 채소와 단백질이 많으므로, 빵 부분인 ‘도우’는 혈당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1. 피자의 구성 요소 피자는 크게 도우(빵), 소스, 치즈, 그리고 각종 토핑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토핑으로 올라가는 채소나 버섯, 살코기 등은 건강에 좋은 재료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뇨 환자에게 피자는 혈당 관리에 있어 최악의 음식 중 하나로 꼽힙니다. 2. 혈당에 영향을 미치는 주범들 – 도우(Dough): 피자의 기반이 되는 도우는 대부분 혈당을 급격히 올리는 ‘정제된 흰 밀가루’로…
-

빵을 먹을 때 천천히 오래 씹으면, 소화 효소가 잘 섞이고 포만감을 빨리 느끼게 해주어 혈당 급상승을 막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
1. 씹기, 소화의 첫 단계 우리가 음식을 먹을 때, 소화 과정은 위나 장이 아닌 ‘입’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씹는 행위는 단순히 음식을 잘게 부수는 것 이상의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 기계적 소화: 음식을 잘게 부수어 소화 효소가 닿는 표면적을 넓혀줍니다. – 화학적 소화: 침 속에 포함된 ‘아밀레이스’라는 효소가 탄수화물을 분해하기 시작합니다. 2. 천천히 오래 씹기의 효과 –…
-

우동면은 메밀로 만든 소바(메밀국수)보다 혈당을 더 빠르게 올린다?
1. 면의 재료가 혈당을 결정한다 면 요리의 혈당 반응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면을 무엇으로 만들었느냐 하는 ‘주재료’입니다. 우동과 메밀국수(소바)는 색과 식감만큼이나 혈당에 미치는 영향도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2. 우동의 특징 – 주재료: 우동면은 정제된 ‘흰 밀가루’로 만들어집니다. – 혈당 반응: 흰 밀가루는 식이섬유와 영양소가 대부분 제거된 순수한 탄수화물에 가깝습니다. 이 때문에 소화 흡수가 매우…
DangTalk download | PESS Mining | PiSTORE | Naver Caf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