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액 케톤 검사는 소변 케톤 검사보다 현재 몸의 케톤 상태를 더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반영한다?
1. 케톤 측정의 두 가지 방법 당뇨병성 케톤산증(DKA)의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케톤을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소변 검사와 혈액 검사가 있습니다. 두 검사 모두 유용하지만, 정확성과 실시간 반영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2. 소변 케톤 검사 – 원리: 혈액 속에 케톤이 많아지면,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소변 검사 스트립을 이용하여 이 케톤의 유무와 농도를 색깔…
-
‘글루카곤 자극 검사’는 췌장의 인슐린 분비 능력이 얼마나 남아있는지 평가하는 검사이다?
1. 췌장의 인슐린 분비 능력, 왜 평가해야 할까? 당뇨병 환자의 치료 계획을 세울 때, 환자의 췌장이 스스로 인슐린을 만들어내는 능력이 얼마나 남아있는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제1형과 제2형 당뇨병을 구별하거나,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인슐린 치료가 필요한 시점인지를 판단하는 데 핵심적인 정보가 되기 때문입니다. 2. 글루카곤 자극 검사(GST)의 원리 – 글루카곤의 역할: 글루카곤은 일반적으로 혈당을…
-
‘프럭토사민 검사’는 당화혈색소(HbA1c) 검사보다 더 긴 기간(4~6개월)의 평균 혈당을 반영한다?
1. 또 다른 평균 혈당 지표, 프럭토사민 프럭토사민은 당화혈색소와 마찬가지로, 혈액 속의 포도당이 단백질과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물질입니다. 당화혈색소가 적혈구의 ‘혈색소’ 단백질에 포도당이 결합한 것이라면, 프럭토사민은 주로 혈액 단백질 중 가장 많은 ‘알부민’에 포도당이 결합한 것입니다. 2. 반영 기간의 차이 두 검사의 가장 큰 차이점은 평균 혈당을 반영하는 ‘기간’입니다. 이 기간은 포도당이 달라붙는 단백질의 평균 수명에…
-
병원에서 간이 기계로 측정하는 당화혈색소(현장검사)는 대형병원 실험실에서 분석하는 것과 정확도가 동일하다?
1. 두 가지 방식의 당화혈색소 검사 당화혈색소(HbA1c)를 측정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현장 현시 검사(Point-of-Care Testing, POCT): 개인 병원이나 진료실에서 작은 휴대용 기기를 사용하여, 손끝 모세혈관 혈액으로 수 분 내에 결과를 바로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 표준 실험실 검사: 병원에서 팔의 정맥 혈액을 채혈하여, 대형 분석 장비를 갖춘 중앙 검사실(실험실)로 보내 분석하는 방식입니다. 결과가…
-
자가 혈당 측정기는 어떤 상황에서도 항상 정확하며, 다른 약물이나 신체 상태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1. 자가 혈당 측정기의 원리 대부분의 자가 혈당 측정기는 전기화학적 원리를 이용합니다. 검사지에 혈액을 묻히면, 검사지 안의 효소가 혈액 속 포도당과 반응하여 미세한 전류를 발생시킵니다. 측정기는 이 전류의 세기를 측정하여 혈당 수치로 변환해 보여주는 것입니다. 2. 오류를 유발할 수 있는 간섭 요인 이러한 화학 반응 과정은 혈액 속의 다른 특정 물질이나, 우리 몸의 전반적인 상태에…
-
경구당부하검사(OGTT) 전 3일 동안은 정확한 검사를 위해 탄수화물 섭취를 최대한 줄여야 한다?
1. 검사의 목적: 평소의 반응 보기 경구당부하검사(OGTT)의 목적은 ‘평상시’ 식습관을 유지하던 우리 몸이, 갑자기 많은 양의 포도당(75g)이 들어왔을 때 얼마나 효율적으로 대처하는지를 보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검사 전 며칠 동안 평소와 다른 극단적인 식사를 하게 되면, 검사 결과가 왜곡되어 실제 우리 몸의 상태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2.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면 안 되는 이유 만약…
-
‘성인 잠재성 자가면역 당뇨병(LADA)’은 제1형 당뇨병처럼 자가항체를 가지고 있지만, 발병 양상은 제2형 당뇨병처럼 서서히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1. 제1형과 제2형 사이의 당뇨병, LADA LADA(Latent Autoimmune Diabetes in Adults)는 ‘성인 잠재성 자가면역 당뇨병’을 의미하며, ‘1.5형 당뇨병’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립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어 종종 제2형 당뇨병으로 오진되기도 하는 특수한 형태의 당뇨병입니다. 2. LADA의 특징 – 제1형 당뇨병의 특징(원인): 제1형 당뇨병처럼, 면역체계가 췌장의 베타세포를 공격하는 ‘자가면역’ 반응이…
-
MODY(청년 발병 성인형 당뇨병)는 제2형 당뇨병과 증상이 비슷하지만, 비만이나 생활 습관과 관계없이 특정 유전자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단일 유전자 당뇨병이다?
1. MODY(Maturity-Onset Diabetes of the Young)란? MODY는 ‘청년기에 발병하는 성인형 당뇨병’이라는 뜻으로, 제1형이나 제2형 당뇨병과는 다른, 특정한 단일 유전자의 결함(돌연변이)으로 인해 발생하는 드문 형태의 당뇨병입니다. 2. MODY의 주요 특징 – 명확한 유전 방식: MODY는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됩니다. 이는 부모 중 한 명이 해당 유전자 변이를 가지고 있으면, 자녀에게 유전될 확률이 50%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가족력이 매우…
-
당뇨병 진단을 위한 혈당 검사는 동맥혈, 정맥혈, 모세혈관혈(손끝 혈액) 중 어떤 혈액을 사용해도 결과가 동일하다?
1. 혈당, 어디서 재느냐에 따라 다르다 우리 몸의 혈당 수치는 측정하는 혈액의 종류와 시점에 따라 미세한 차이를 보입니다. 혈액은 크게 동맥혈, 정맥혈, 그리고 손끝에서 채혈하는 모세혈관혈로 나눌 수 있습니다. 2. 혈액 종류에 따른 혈당 수치 차이 – 공복 시: 공복 상태에서는 우리 몸의 모든 조직이 비슷한 양의 포도당을 사용하므로, 동맥, 정맥, 모세혈관 혈액 간의 혈당…
-
‘식후 혈당’은 일반적으로 식사를 시작한 시점부터 2시간 후에 측정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1. 식후 혈당 측정의 중요성 식후 혈당은 우리가 섭취한 음식, 특히 탄수화물에 대해 우리 몸의 인슐린 반응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식후 혈당을 일관된 기준으로 측정하고 관리하는 것은 혈당의 변동성을 줄이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2. 왜 ‘식사 시작’ 시점이 기준일까? – 소화의 시작: 우리 몸의 소화 과정과 혈당 상승은 음식을 입에 넣고 씹는…
DangTalk download | PESS Mining | PiSTORE | Naver Ca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