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피오카 펄의 원료인 ‘카사바’는 고구마와 비슷한 뿌리채소로, 탄수화물 함량이 매우 높다?

    타피오카 펄의 원료인 ‘카사바’는 고구마와 비슷한 뿌리채소로, 탄수화물 함량이 매우 높다?

    1. 카사바(Cassava)란? 카사바는 아프리카, 아시아, 남아메리카 등 열대 지역에서 널리 재배되는 뿌리 식물입니다. 고구마처럼 땅속의 덩이뿌리를 식용으로 사용하며,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 전 세계 수억 명의 주식으로 활용되는 매우 중요한 작물입니다. 2. ‘전분 덩어리’ 카사바 – 높은 탄수화물 함량: 카사바 뿌리는 탄수화물, 특히 녹말(전분)이 주성분입니다. 생 카사바 100g에는 약 38g의 탄수화물이 들어있어, 고구마(약 20g)나 감자(약…

  • 군밤은 찐밤보다 수분이 적어, 같은 개수를 먹어도 혈당에 미치는 영향이 더 적다?

    군밤은 찐밤보다 수분이 적어, 같은 개수를 먹어도 혈당에 미치는 영향이 더 적다?

    1. 밤, 견과류가 아닌 탄수화물 식품 밤은 흔히 견과류로 생각하지만, 지방이 대부분인 다른 견과류와 달리 주성분이 ‘탄수화물(전분)’입니다. 따라서 당뇨 환자는 밤을 아몬드나 호두가 아닌, 작은 감자나 고구마처럼 생각하고 섭취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2. 굽는 과정의 효과 – 수분 증발과 당분 농축: 밤을 고온에서 굽는 과정에서, 밤 속의 수분은 증발합니다. 하지만 그 안에 있던 탄수화물과 당분은 그대로…

  • 당근과 비슷하게 생긴 뿌리채소 ‘파스닙’은 당근보다 탄수화물과 전분 함량이 더 높다?

    당근과 비슷하게 생긴 뿌리채소 ‘파스닙’은 당근보다 탄수화물과 전분 함량이 더 높다?

    1. 파스닙(Parsnip)이란? 파스닙은 당근과 매우 비슷하게 생긴 흰색의 뿌리채소입니다. 유럽에서는 예로부터 널리 사용되어 온 식재료로, 구우면 고구마처럼 달콤하고 고소한 맛이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2. 당근과의 영양 성분 비교 – 당근: 당근은 대표적인 ‘비전분성 채소’입니다. 100g당 탄수화물 함량이 약 10g 미만으로 낮고, 식이섬유와 베타카로틴이 풍부합니다. 혈당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당뇨 환자가 비교적 자유롭게 먹을 수 있습니다.…

  • 쫄면은 면발이 매우 질기고 쫄깃해서, 소화가 느려 혈당을 천천히 올린다?

    쫄면은 면발이 매우 질기고 쫄깃해서, 소화가 느려 혈당을 천천히 올린다?

    1. 쫄면의 주재료 쫄면의 상징인 매우 질기고 탄력 있는 식감은 면의 주재료인 ‘감자 전분’이나 ‘고구마 전분’, 그리고 ‘밀가루’를 배합하여 만들어집니다. 2. ‘질긴 식감’의 함정 – 고도로 정제된 전분: 쫄면의 주재료인 전분은 탄수화물만 남도록 고도로 정제된 것입니다. 이는 우리 몸에서 소화 흡수되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높은 혈당 지수(GI): 쫄면의 혈당 지수는 당면과 마찬가지로…

  • 찹쌀가루로 만든 ‘찹쌀 도넛’은 일반 밀가루 도넛보다 혈당을 더 빠르고 높게 올릴 수 있다?

    찹쌀가루로 만든 ‘찹쌀 도넛’은 일반 밀가루 도넛보다 혈당을 더 빠르고 높게 올릴 수 있다?

    1. 찹쌀과 밀가루의 혈당 반응 찹쌀과 밀가루는 모두 혈당을 빠르게 올리는 고탄수화물 재료이지만, 그중에서도 찹쌀은 ‘혈당 스파이크’에 있어 왕중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찹쌀: 찹쌀의 녹말은 거의 100% ‘아밀로펙틴’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성분은 소화 효소가 매우 쉽게 작용하는 구조를 가져,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거의 즉시 포도당으로 분해되어 흡수됩니다. – 밀가루: 일반 밀가루도 정제 탄수화물이지만,…

  • 라면은 끓여 먹을 때보다, 생으로 부숴 먹을 때 녹말의 호화가 덜 되어 소화 속도가 느려 혈당이 더 천천히 오른다?

    라면은 끓여 먹을 때보다, 생으로 부숴 먹을 때 녹말의 호화가 덜 되어 소화 속도가 느려 혈당이 더 천천히 오른다?

    1. ‘호화’와 소화 속도의 관계 탄수화물이 혈당을 올리는 속도는 ‘호화(Gelatinization)’ 정도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호화’란, 녹말에 물을 붓고 열을 가했을 때 녹말이 부풀어 오르고 부드러워져 소화되기 쉬운 상태로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호화가 잘 될수록 소화 흡수가 빨라져 혈당을 급격히 올립니다. (예: 쌀 -> 밥 -> 죽 순서로 호화도가 높아짐) 2. 생라면 vs 끓인 라면 –…

  • ‘1.5형 당뇨병’은 제1형 당뇨병처럼 면역체계 이상이 원인이지만, 제2형 당뇨병처럼 성인기에 서서히 발병하는 특징이 있다?

    ‘1.5형 당뇨병’은 제1형 당뇨병처럼 면역체계 이상이 원인이지만, 제2형 당뇨병처럼 성인기에 서서히 발병하는 특징이 있다?

    1. 제1형과 제2형 사이의 당뇨병 LADA(Latent Autoimmune Diabetes in Adults)는 ‘성인 잠재성 자가면역 당뇨병’의 약자이지만, 환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1.5형 당뇨병’이라는 별명으로 더 자주 불립니다. 이름 그대로, 제1형과 제2형 당뇨병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어 종종 제2형 당뇨병으로 오해받기 쉬운 특수한 당뇨병입니다. 2. LADA의 두 가지 특징 – 제1형 당뇨병처럼, 원인은 ‘면역체계의 공격’: 우리 몸의 면역 세포가…

  • 특정 유전자 1개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MODY’는 생활 습관과 관계없이 발병하는 유전성 당뇨병이다?

    특정 유전자 1개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MODY’는 생활 습관과 관계없이 발병하는 유전성 당뇨병이다?

    당톡 – 당뇨병상식: MODY에 대한 이해 1. MODY(Maturity-Onset Diabetes of the Young)란? MODY는 ‘청년기에 발병하는 성인형 당뇨병’이라는 뜻으로, 제1형이나 제2형 당뇨병과는 완전히 다른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이는 비만이나 생활 습관, 면역체계의 문제가 아닌, 인슐린 생산에 관련된 특정 ‘유전자’ 하나에 결함이 생겨 발생하는 드문 유전성 당뇨병입니다. 2. MODY의 주요 특징 – 강력한 가족력: MODY는 부모 중 한…

  • 당뇨병을 진단할 때는 손끝 혈액, 팔의 정맥 혈액 중 어떤 것을 사용해도 결과가 동일하다?

    당뇨병을 진단할 때는 손끝 혈액, 팔의 정맥 혈액 중 어떤 것을 사용해도 결과가 동일하다?

    1. 혈당, 어디서 재느냐에 따라 다르다 우리 몸의 혈당 수치는 측정하는 혈액의 종류에 따라 미세한 차이를 보입니다. 우리가 집에서 사용하는 자가 혈당 측정기는 손끝의 ‘모세혈관 혈액’을 사용하고, 병원에서 진단을 위해 채혈하는 것은 팔의 ‘정맥 혈액’입니다. 2. 왜 수치가 다를까? – 공복 상태: 굶었을 때는 우리 몸의 모든 조직이 비슷한 양의 포도당을 사용하므로, 손끝 혈당과 정맥…

  • ‘식후 혈당’은 일반적으로 식사를 시작한 시점부터 2시간 후에 측정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식후 혈당’은 일반적으로 식사를 시작한 시점부터 2시간 후에 측정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1. 식후 혈당 측정의 중요성 식후 혈당은 우리가 섭취한 음식, 특히 탄수화물에 대해 우리 몸의 인슐린 반응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식후 혈당을 일관된 기준으로 측정하고 관리하는 것은 혈당의 변동성을 줄이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2. 왜 ‘식사 시작’ 시점이 기준일까? – 소화의 시작: 우리 몸의 소화 과정과 혈당 상승은 음식을 입에 넣고 씹는…

DangTalk download  |  PESS Mining  |  PiSTORE  | Naver Cafe

상호명 : 주식회사 파이스토어 사업자번호 : 295-87-03421 대표자 : 박대권 이메일 : gruf3115@gmail.com  주 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강서로47길 165, 9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