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흑미는 색이 진하고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므로, 백미와 섞어 먹으면 혈당 조절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흑미는 색이 진하고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므로, 백미와 섞어 먹으면 혈당 조절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1. ‘검은 쌀’ 흑미의 효능 흑미(검은쌀)는 예로부터 약쌀로 불릴 만큼 영양이 풍부한 곡물입니다. 흑미의 검은색 껍질 부분에는 ‘안토시아닌’이라는 강력한 항산화 성분이 블루베리나 검은콩보다도 훨씬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이 안토시아닌은 우리 몸의 염증을 줄이고 혈관을 건강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흑미는 현미의 일종이므로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 함량도 백미보다 훨씬 높습니다. 2. 백미와 섞었을 때의 효과 물론…

  • 압력솥으로 지은 밥은 일반 전기밥솥으로 지은 밥보다 더 차지고 소화가 잘 되어, 혈당을 더 빠르게 올릴 수 있다?

    압력솥으로 지은 밥은 일반 전기밥솥으로 지은 밥보다 더 차지고 소화가 잘 되어, 혈당을 더 빠르게 올릴 수 있다?

    1. 밥맛을 결정하는 ‘호화’ 과정 쌀에 물을 붓고 열을 가하면, 쌀알 속의 녹말(전분)이 물을 흡수하여 부풀어 오르고 부드러워지면서 점성이 생깁니다. 이 과정을 ‘호화(Gelatinization)’라고 합니다. 호화가 잘 될수록 밥은 더 차지고 맛있어지며, 소화 효소가 작용하기 좋은 상태가 됩니다. 2. 압력솥의 원리와 효과 – 고온, 고압: 압력솥은 내부 압력을 높여 물의 끓는점을 100°C 이상(최대 120°C)으로 끌어올립니다. –…

  • 밥솥 바닥에 눌어붙은 ‘누룽지’는 수분이 날아가 탄수화물이 농축되어, 같은 무게의 밥보다 혈당을 더 많이 올릴 수 있다?

    밥솥 바닥에 눌어붙은 ‘누룽지’는 수분이 날아가 탄수화물이 농축되어, 같은 무게의 밥보다 혈당을 더 많이 올릴 수 있다?

    1. 누룽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누룽지는 밥을 짓는 과정에서 솥 바닥의 높은 열에 의해 밥알의 수분이 증발하고, 녹말이 갈색으로 변하는 ‘마이야르 반응’과 ‘탄화’ 과정을 거쳐 만들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구수한 맛과 바삭한 식감이 생겨납니다. 2. 누룽지와 혈당 많은 사람들이 누룽지를 구수한 맛 때문에 건강 간식으로 생각하거나, 숭늉으로 만들어 먹으면 속이 편하다고 느낍니다. 하지만 혈당 관리 측면에서는 주의가…

  • 몸이 아플 때 먹는 ‘흰쌀죽’은 소화가 잘되므로, 같은 양의 흰쌀밥보다 혈당을 더 천천히 올린다?

    몸이 아플 때 먹는 ‘흰쌀죽’은 소화가 잘되므로, 같은 양의 흰쌀밥보다 혈당을 더 천천히 올린다?

    1. ‘소화가 잘된다’의 의미 우리가 흔히 ‘소화가 잘된다’고 말하는 것은, 음식물이 위에 부담을 주지 않고 장에서 빠르게 흡수된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위장 기능이 떨어진 환자에게는 장점이지만, 당뇨 환자의 혈당 관리 측면에서는 오히려 치명적인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2. 죽과 혈당 스파이크 – 극도로 높은 호화도: 죽은 쌀에 많은 양의 물을 넣고 오랜 시간 끓여 만듭니다. 이…

  • ‘1.5형 당뇨병’은 제1형 당뇨병처럼 면역체계 이상이 원인이지만, 제2형 당뇨병처럼 성인기에 서서히 발병하는 특징이 있다?

    ‘1.5형 당뇨병’은 제1형 당뇨병처럼 면역체계 이상이 원인이지만, 제2형 당뇨병처럼 성인기에 서서히 발병하는 특징이 있다?

    1. 제1형과 제2형 사이의 당뇨병 LADA(Latent Autoimmune Diabetes in Adults)는 ‘성인 잠재성 자가면역 당뇨병’의 약자이지만, 환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1.5형 당뇨병’이라는 별명으로 더 자주 불립니다. 이름 그대로, 제1형과 제2형 당뇨병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어 종종 제2형 당뇨병으로 오해받기 쉬운 특수한 당뇨병입니다. 2. LADA의 두 가지 특징 – 제1형 당뇨병처럼, 원인은 ‘면역체계의 공격’: 우리 몸의 면역 세포가…

  • 특정 유전자 1개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MODY’는 생활 습관과 관계없이 발병하는 유전성 당뇨병이다?

    특정 유전자 1개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MODY’는 생활 습관과 관계없이 발병하는 유전성 당뇨병이다?

    당톡 – 당뇨병상식: MODY에 대한 이해 1. MODY(Maturity-Onset Diabetes of the Young)란? MODY는 ‘청년기에 발병하는 성인형 당뇨병’이라는 뜻으로, 제1형이나 제2형 당뇨병과는 완전히 다른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이는 비만이나 생활 습관, 면역체계의 문제가 아닌, 인슐린 생산에 관련된 특정 ‘유전자’ 하나에 결함이 생겨 발생하는 드문 유전성 당뇨병입니다. 2. MODY의 주요 특징 – 강력한 가족력: MODY는 부모 중 한…

  • 당뇨병을 진단할 때는 손끝 혈액, 팔의 정맥 혈액 중 어떤 것을 사용해도 결과가 동일하다?

    당뇨병을 진단할 때는 손끝 혈액, 팔의 정맥 혈액 중 어떤 것을 사용해도 결과가 동일하다?

    1. 혈당, 어디서 재느냐에 따라 다르다 우리 몸의 혈당 수치는 측정하는 혈액의 종류에 따라 미세한 차이를 보입니다. 우리가 집에서 사용하는 자가 혈당 측정기는 손끝의 ‘모세혈관 혈액’을 사용하고, 병원에서 진단을 위해 채혈하는 것은 팔의 ‘정맥 혈액’입니다. 2. 왜 수치가 다를까? – 공복 상태: 굶었을 때는 우리 몸의 모든 조직이 비슷한 양의 포도당을 사용하므로, 손끝 혈당과 정맥…

  • ‘식후 혈당’은 일반적으로 식사를 시작한 시점부터 2시간 후에 측정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식후 혈당’은 일반적으로 식사를 시작한 시점부터 2시간 후에 측정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1. 식후 혈당 측정의 중요성 식후 혈당은 우리가 섭취한 음식, 특히 탄수화물에 대해 우리 몸의 인슐린 반응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식후 혈당을 일관된 기준으로 측정하고 관리하는 것은 혈당의 변동성을 줄이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2. 왜 ‘식사 시작’ 시점이 기준일까? – 소화의 시작: 우리 몸의 소화 과정과 혈당 상승은 음식을 입에 넣고 씹는…

  • 혈액 케톤 검사는 소변 케톤 검사보다 현재 몸의 케톤 상태를 더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반영한다?

    혈액 케톤 검사는 소변 케톤 검사보다 현재 몸의 케톤 상태를 더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반영한다?

    1. 케톤 측정의 두 가지 방법 당뇨병성 케톤산증(DKA)의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케톤을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소변 검사와 혈액 검사가 있습니다. 두 검사 모두 유용하지만, 정확성과 실시간 반영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2. 소변 케톤 검사 – 원리: 혈액 속에 케톤이 많아지면,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소변 검사 스트립을 이용하여 이 케톤의 유무와 농도를 색깔…

  • ‘글루카곤 자극 검사’는 췌장의 인슐린 분비 능력이 얼마나 남아있는지 평가하는 검사이다?

    ‘글루카곤 자극 검사’는 췌장의 인슐린 분비 능력이 얼마나 남아있는지 평가하는 검사이다?

    1. 췌장의 인슐린 분비 능력, 왜 평가해야 할까? 당뇨병 환자의 치료 계획을 세울 때, 환자의 췌장이 스스로 인슐린을 만들어내는 능력이 얼마나 남아있는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제1형과 제2형 당뇨병을 구별하거나,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인슐린 치료가 필요한 시점인지를 판단하는 데 핵심적인 정보가 되기 때문입니다. 2. 글루카곤 자극 검사(GST)의 원리 – 글루카곤의 역할: 글루카곤은 일반적으로 혈당을…

DangTalk download  |  PESS Mining  |  PiSTORE  | Naver Cafe

상호명 : 주식회사 파이스토어 사업자번호 : 295-87-03421 대표자 : 박대권 이메일 : gruf3115@gmail.com  주 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강서로47길 165, 9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