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쫄면의 주재료
쫄면의 상징인 매우 질기고 탄력 있는 식감은 면의 주재료인 ‘감자 전분’이나 ‘고구마 전분’, 그리고 ‘밀가루’를 배합하여 만들어집니다.
2. ‘질긴 식감’의 함정
– 고도로 정제된 전분: 쫄면의 주재료인 전분은 탄수화물만 남도록 고도로 정제된 것입니다. 이는 우리 몸에서 소화 흡수되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높은 혈당 지수(GI): 쫄면의 혈당 지수는 당면과 마찬가지로 80 이상으로 매우 높습니다. ‘질기다’는 식감은 씹는 데 노력이 필요하다는 뜻이지, 위장에서 소화되는 속도가 느리다는 의미가 결코 아닙니다. 일단 삼키고 나면, 고도로 정제된 전분은 포도당으로 신속하게 전환됩니다.
– 매콤달콤한 양념: 쫄면의 맛을 내는 고추장 기반의 양념장에는 맛을 내기 위해 엄청난 양의 설탕과 식초, 물엿이 들어갑니다. 이 양념의 단순당은 쫄면 면발과 함께 식후 혈당을 폭발적으로 올리는 주범입니다.
3. 결론
쫄면은 ‘질긴 식감’이라는 오해와 달리, ‘정제 전분(면)’과 ‘설탕 덩어리(양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대표적인 ‘혈당 스파이크’ 유발 음식입니다. 냉면이나 떡볶이와 마찬가지로, 당뇨 환자는 섭취를 최대한 피해야 합니다.
정리: 쫄면의 질긴 식감은 소화 속도와 무관하며, 주재료인 정제 전분과 설탕 많은 양념 때문에 혈당을 매우 빠르고 높게 올리는 음식이므로 섭취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