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음식의 물리적 형태와 소화
음식의 혈당 반응은 화학적 구성(재료)뿐만 아니라, ‘물리적 형태’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우리 몸의 소화 효소는 음식의 표면에서부터 작용하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2. 표면적의 원리
– 원리: 같은 무게의 음식이라도, 입자가 작고 조각이 많을수록 전체 ‘표면적’은 넓어집니다. 표면적이 넓을수록 소화 효소가 더 많은 곳에, 더 빨리 달라붙어 음식물을 분해할 수 있습니다.
– 사례: 통감자 vs 으깬 감자. 으깬 감자는 표면적이 극도로 넓어져, 통감자보다 소화 흡수가 훨씬 빨라 혈당을 더 급격히 올립니다.
3. 식빵의 두께와 혈당
이 원리는 식빵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 두껍게 썬 식빵: 상대적으로 부피에 비해 표면적이 작습니다. 씹을 때도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 얇게 썬 식빵: 같은 무게라면, 얇게 썬 식빵 여러 조각이 두껍게 썬 식빵 한 조각보다 전체 표면적이 더 넓습니다.
– 미미한 차이: 이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두껍게 썬 식빵이 얇게 썬 식빵보다 소화 흡수가 약간 더 느려, 혈당 반응이 아주 조금 더 완만할 수 있습니다.
4. 더 중요한 것들
물론, 이 효과는 빵의 종류(흰빵 vs 통밀빵)나 함께 먹는 음식, 그리고 섭취하는 총량에 비하면 매우 미미한 차이입니다. 빵의 두께를 고민하기보다는, 100% 통밀빵을 선택하고, 섭취량을 조절하며, 단백질/지방과 함께 먹는 것이 혈당 관리에 훨씬 더 중요합니다. 하지만 음식의 물리적 형태가 소화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건강한 식습관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정리: 같은 빵이라도 두껍게 썬 덩어리가 얇게 썬 조각보다 표면적이 작아 소화되는 데 시간이 조금 더 걸리므로, 혈당 반응이 아주 미세하게나마 더 완만할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