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1형과 제2형 사이의 당뇨병, LADA
LADA(Latent Autoimmune Diabetes in Adults)는 ‘성인 잠재성 자가면역 당뇨병’을 의미하며, ‘1.5형 당뇨병’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립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어 종종 제2형 당뇨병으로 오진되기도 하는 특수한 형태의 당뇨병입니다.
2. LADA의 특징
– 제1형 당뇨병의 특징(원인): 제1형 당뇨병처럼, 면역체계가 췌장의 베타세포를 공격하는 ‘자가면역’ 반응이 원인입니다. 따라서 혈액 검사에서 췌장 관련 자가항체(예: GAD 항체)가 발견됩니다.
– 제2형 당뇨병의 특징(양상): 하지만 제1형 당뇨병처럼 췌장 세포 파괴 속도가 빠르지 않고 매우 서서히 진행됩니다. 이 때문에 보통 30세 이후의 성인에게서 발병하며, 초기에는 마치 제2형 당뇨병처럼 생활 습관 교정이나 먹는 약으로 어느 정도 혈당이 조절되는 것처럼 보입니다.
3. 왜 정확한 진단이 중요한가?
초기에 제2형 당뇨병으로 오진되면, 췌장의 인슐린 분비를 쥐어짜는 방식의 약을 사용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이미 자가면역 반응으로 지쳐있는 췌장을 더욱 빨리 고갈시켜, 인슐린 주사가 필요한 시점을 오히려 앞당기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른 체형의 성인이 당뇨병으로 진단되었거나, 제2형 당뇨병 약을 복용함에도 혈당 조절이 계속 나빠진다면 자가항체 검사를 통해 LADA의 가능성을 확인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국 LADA 환자는 제1형 당뇨병과 마찬가지로, 시간이 지나면 반드시 인슐린 치료가 필요하게 됩니다.
정리: LADA는 제1형 당뇨병처럼 자가면역이 원인이지만, 제2형 당뇨병처럼 성인기에 서서히 발병하는 특징을 가진 중간 형태의 당뇨병으로, 정확한 감별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