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중에도 혈당이 높아지는 현상은 ‘새벽 현상(Dawn Phenomenon)’이나 ‘소모기 효과(Somogyi Effect)’ 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인슐린 저항성이나 야간 저혈당 후 반동성 고혈당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새벽 혈당 관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면 중 혈당 상승 현상
당뇨병 환자는 깨어 있을 때뿐 아니라 수면 중에도 혈당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특히 새벽 시간(보통 오전 2~8시 사이)에 발생하는 고혈당은 두 가지 대표적인 원인으로 구분됩니다.
이를 **‘새벽 현상(Dawn Phenomenon)’**과 **‘소모기 효과(Somogyi Effect)’**라고 합니다.
새벽 현상(Dawn Phenomenon)
새벽이 되면 우리 몸은 하루를 준비하기 위해 성장호르몬, 코르티솔, 아드레날린 같은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이 호르몬들은 혈당을 높이는 작용을 하며,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당뇨병 환자에게는
혈당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특징적으로, 야간 저혈당 없이 서서히 혈당이 오르는 패턴을 보입니다.
소모기 효과(Somogyi Effect)
소모기 효과는 반대로 야간 저혈당이 선행된 후 나타나는 반동성 고혈당입니다.
예를 들어, 밤에 인슐린을 과다 주사하거나 저녁 식사량이 부족해 혈당이 크게 떨어지면,
몸은 이를 방어하기 위해 혈당 상승 호르몬을 과다 분비합니다.
그 결과 새벽에 측정했을 때 오히려 고혈당이 관찰됩니다.
관리 방법
-
새벽 혈당 측정: 새벽 2~3시경 혈당을 체크하면 원인 구분에 도움
-
저녁 식사·간식 조절: 지나친 탄수화물 제한 또는 과식 모두 피하기
-
인슐린 용량·시간 조정: 의료진과 상의하여 저녁 인슐린 패턴 변경
-
지속혈당측정기(CGM) 활용: 수면 중 혈당 변화를 실시간 확인 가능
결론
수면 중 혈당 상승은 단순한 식사 문제뿐 아니라 호르몬 변화와 인슐린 작용 패턴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새벽 현상과 소모기 효과를 구분하고, 생활 습관과 약물 요법을 맞춤 조정하는 것이
혈당 안정화와 합병증 예방에 중요합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