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형 당뇨병 초기 환자의 경우, 식사요법과 운동 등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 혈당이 잘 조절되면 의사와의 상담 하에 약을 줄이거나 중단할 수 있습니다.
1. 왜 이런 말이 생겼을까?
당뇨병은 대부분 완치가 아닌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환입니다.
혈당이 약 없이 잘 유지되지 않는 경우, 약을 중단하면 다시 혈당이 오르기 때문에
결국 오랫동안(평생) 복용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2. 하지만 ‘무조건 평생’은 아님
-
초기 당뇨병이거나,
-
약을 시작한 후 식습관·운동·체중 조절을 철저히 하면,
의사 판단하에 약을 줄이거나 중단할 수도 있습니다. -
특히 임신성 당뇨, 일시적 혈당 상승(스트레스·질병·스테로이드 복용 등)으로 약을 먹던 경우는
원인 해소 후 약을 끊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중요한 포인트
-
약을 멋대로 중단하면 혈당이 다시 오르며, 합병증 위험이 커집니다.
-
약을 끊는 목표는 ‘약 없이도 혈당이 안정되는 생활습관’을 만드는 것인데,
이는 꾸준한 노력과 정기적인 혈당·당화혈색소 검사로 확인해야 합니다.
💡 정리
-
❌ “한 번 먹으면 무조건 평생” → 과장된 표현
-
✅ “대부분 장기 복용이 필요하지만, 생활습관 개선으로 줄이거나 중단 가능”
답글 남기기